자동차 등록비용은 차량을 구매한 후 공식적으로 소유권을 등록하고, 도로에서 합법적으로 운행하기 위하여 지불해야 하는 세금과 기타 비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해당 비용은 신차와 중고차 그리고 차량의 종류와 배기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오늘은 간편하게 계산해볼 수 있도록 자동차 등록비용 계산기 이용하는 방법을 준비해보았습니다. 자동차365라는 사이트를 참고했으며, 신차와 중고차에 대한 등록비용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신차 등록비용 계산기 (신차 등록비용 : 자동차365)
차량가격, 거주지역, 차종구분을 선택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서 결과를 확인합니다. 결과 화면에서는 지역, 취득세, 공채매입, 매입율, 할인율, 공채할인, 친환경차 감면, 합계, 비고를 보여줍니다. 비고란의 내용은 전국 등록비용 중 제일 최소 금액 대비 추가되는 금액입니다.
등록비용 계산 서비스를 통해 계산된 금액은 참고자료이며, 정확한 금액을 알고싶으시면 해당지역 차량등록과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공채 할인율은 수시로 변동되고, 정확한 현재 할인액에 대해서는 지자체별 시금고 은행으로 문의하셔야 합니다.
2. 중고차 등록비용 계산기 (중고차 등록비용 : 자동차365)
차량가격, 거주지역, 차종구분을 선택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계산결과 항목은 좀전의 신차 등록비용 계산기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겠습니다.
등록비용 계산 서비스를 통해 계산된 금액은 참고자료이고, 정확한 금액은 해당지역 차량등록과에 문의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법인이나 사업자의 경우에는 차량등록 사업소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시가표준액 조회(승용차량만 해당)도 하실 수 있으며, 자동차명과 형식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시가표준액은 취득세나 재산세 등의 과세표준을 정하기 위하여, 시가 그 자체는 아니지만 과세관청이 과세를 위한 최저한의 표준가격으로서 결정 및 고시한 가액입니다.
등록비용 계산 대상은 일반인(비장애인) 및 비영업용 차량을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고, 차량가격을 정확히 입력해야 하며, 탁송료 및 부가세까지 포함하여 입력하셔야 정확한 결과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세제의 변화나 계산방식의 차이에 의해 실제와 다를 수 있으며, 인지대와 번호판대 및 등록대행료가 추가로 필요합니다. 공채 매입비용의 할인율은 세율기준으로 지역마다 차이가 있고, 차량가격이 과세표준보다 높으면 등록비용이 상승될 수 있습니다.
<관련글>
https://goodclover.tistory.com/1436
자동차세 납부조회 해보기
저는 저번달에 1년치 자동차세를 한번에 다 냈는데요, 그렇게 납부하면 할인혜택이 있기때문입니다. 신청기간이 언제까지인지 모르겠는데 아무튼 여러분들도 알아두시면 그만큼 세금납입액을
goodclover.tistory.com